분류 전체보기 (18) 썸네일형 리스트형 시작하는 것은 남기는 것 "평생 해야할 일"은 무엇일까? 그것은 직장이 아니다 적어도 지금의 결론은 그렇다 이제 평생 직장의 시대는 지나갔다 직업이란 언제든지 대체될 수 있는 것 내가 누군지, 내가 무엇을 하는 사람인지, 어떠한 것에 관심있는지 알아가기 위해서는 남겨야 한다. 그것이 무엇이든 그리고 남기다 보면 나에게 중요하고 의미있는 것들이 보일 것이다 그리고 새로운 것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 나는 인생의 큰 방향을 꺾어나가기 시작하는 시점, 치열하게 고민해야 할것이다 "살아가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지금의 나에게 그것은 "더 잘 살아가는 것"이다 조금씩 천천히 understandingsunderstanding 어제 대표님이 선배와 나와 잠깐의 티타임을 가지며 이 책에 대한 이야기를 하셨다 인포그래픽과 편집디자인에 대한 전반적인 역사에 관한 책이었다 세상의 모든 디자인에 관한 지식이 담겨있는 듯한 백과사전, 기록들을 훑다보면 묘한 기분이 든다 세상이 굴러가고있다는 듯한 느낌 내가 그것의 일부가 되어 계속 이어나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잠깐의 기분 벅차오름과 흥분 그 기분은 곧 티타임이 끝난 뒤 내 자리에 앉으며 사라진다 - 성격에 대한 이해 MBTI가 유행한지 어연 1년이 지나간다 난 예전부터 관심이 많아서 왠만한건 다 안다고 생각했는데 끊임없이 MBTI에 대한 컨텐츠들이 쏟아져 나온다 간간히 찾아보는데 역시 재미있다 가장 재밌는 것은 주변 사람들을 직접 대입하.. 겁내지 않고 그리는 법 이연 작가의 에세이를 사서 읽어보는데 이제 슬슬 나를 들여다보는 일에 잠깐 휴식을 취할때가 온것같다. 이제 그만 들여다보고 앞으로 한걸음 나아가자. 최근에 수중에 돈이 많이 생기면서 고민하고있었던 것들을 실현하고 싶어졌다. 이를테면 패션과 카메라, 사진과 같은 일이다. 나는 이들이 돈이 드는 일이라고 생각하여 멀리하고 부정했었다. 하지만 나를 가꾸고 나의 가치관을 가꾸어 나가려면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나를 업그레이드 시키기 프로젝트라던가. 그런게 필요할 것 같다. 같이 살고있는 사람들의 영향이 크다. 나보다 10년은 경험이 많은 사람들의 말은 진실되게 들려온다. 그들의 라이프스타일, 가치관이 나에게 새로운 영향을 주었다. 요새 언니들의 이야기만 들어도 나는 더 성숙해지는 느낌이 든다. 때로는 .. Guard 내가 생각하고 바라는 완벽한 관계는 무엇일까? 나는 영화 속에서 해답에 가까운 것을 보았다. 바로 셜록 홈즈와 왓슨을 보고 떠올린 그림이다. 금잔화와 (라일락 컬러)화분. 그림의 이름을 Protection에서 Guard로 바꾸었다. 사랑과 우정 (일기처럼 써내린 글이라서 두서없음 주의) -동성애자들이 흔히 고민에 빠진 중요한 논제가 있다. 바로 사랑과 우정의 차이는 무엇인가? 이다. 이성애자의 관점에서는 동성은 무조건 우정, 이성끼리는 사랑이지만 동성애자의 관점에서는 동성도 사랑이 될 수 있다는 것이 '관습'에 대한 반박이자 삶에 대한 현실이다. 어쩌면 단어에서부터 기존의 관습에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본다. 사랑은 애, 우정은 친구와의 정. 으로 기존 관습에서의 '친구'란 자연스럽게 동성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예를들어 이러한 관습에서 벗어나고자 '무성애자'라는 개념이 등장한다. 그들은 기존 관습에서의 사랑은 '성애'로 판단하고자하며 자신을 무성애자로 정체화한다.) -완벽한 정답이란 없다. 그냥 내가 사랑이라고 느끼면 사랑인것이고, 우정이면 우정.. 사랑 모든 일의 원흉은 사랑이 될 수 있다. 그것이 남을 향한 사랑이든 자신을 향한 사랑이든 사랑은 언제나 이성을 마비시키고 상처를 남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랑은 왜 아름다울까? 상담 III. 상담의 방법 상담은 기본적으로 면담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상담자는 효과적인 의사 소통의 원리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의사소통이란 상담의 기초가 되는 것이므로, 상담자의 의사소통 능력에 따라 상담 서비스의 질이 달라질 수 있다고 하겠다. 대화는 언어와 감정수준에서 이루어지므로 이 말의 진정한 의미는 의사 (意思) 및 감정(感情)의 상호교환 또는 소통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대인관계에서는 물론 촉진적이고 신뢰적인 상담관계 형성의 성 공여부는 상담자의 민감하게 반응하는 의사소통 기술과 능력에 달려있 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의사소통은 크게 언어적 행동과 비언어적 행동으로 나눌 수 있다. 1. 비언어적 의사소통 사람들은 흔히 비언어적 행동이나 신호를 통해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는 데, 이는 그.. 공감 공감은 기술적인 지식과는 다른 차원에 있는 하나의 고차원적인 역량이다. 공감에도 지식처럼 수준이 존재하며, 높은 수준에 이를 수록 상대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기 수월해지며, 처세술에 있어 빠질 수 없는 능력이다. 상대가 세상을 보는 방식을 재현하는 것 내가 저 상황에 처했더라면 어떻게 했을까"는 공감이 아니며, "저 사람은 어떤 과정을 거쳤길래 저 상황에 처했고 앞으로 어떻게 할까"가 공감이다. 연민은 타인의 불행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은 있지만 어디까지나 '타인'에게 일어난 일로만 생각하는 일방향적인 측은지심이다. 연민은 되려 상대방과 관계를 단절시킬 수 있다. 상대를 자신의 관점에서 보기 때문에 자칫 행복한 우월감을 피력하는 위치에서 나와 다르게 불행한 상대방을 내려다보는 태도로 변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