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8)
How to Choice? 사회봉사 과목에 기관선택을 하는데, 이렇게 선택하기 어려운 것은 처음이었다. 나의 가치관에 대해 머리부터 발끝까지 스스로 성찰하는 느낌이었다. 그 이유는, 장애아동 미술을 가르칠 것인지 일반아동 미술을 가르칠 것인지부터 홍보물 작업, 등으로 전공 역량을 키울 것인지 등 봉사활동을 선택하기 위해 고려해야할 것들이 너무 많았기 때문이다. 처음: 장애인을 만나볼 기회는 별로 없을 것이다. 이왕 봉사하는 것 장애인을 만나볼 기회를 만들어 보고싶다. ->거리가 너무 멀다. 장애인을 가르치는 경험과 일반 아동을 가르치는 경험은 크게 차이가 있는 것일까. ->거리는 상관없이, 유익한 경험을 하고 싶다. 역시 장애아동을 만나보고 싶다. ->미술 가르치는 것에 큰 경험적 영감을 배울 수 있을까 그냥 확실하게 전공 역량을..
호기심과 고통 알고 싶은 것을 알지 못하면 고통스럽다 뚫리고 빈 것 같은 허무감에 고통스럽다 그 고통은 무서움, 두려움같은 감정적인 것이다.
쉬는 날 긱사에서 나가지 않아도 되는 날은 오랜만이어서 나가지 않고 실내에서 쉬어보기로 했다. 그리하여 튼 '강철의 연금술사' 예전부터 봐야지 하면서도 계속 까먹곤 했는데 마침 넷플릭스에 있더라. 시즌1을 다 보았는데, '연금술'자체의 설정은 마법같은 판타지 요소지만 등가교환의 법칙은 강연금을 보기전에도 알고있었던 유명한 철학적 설정이었다. 그리고 설정상 신이 존재한다는 사실도 독특했다. 시즌1을 보며 몇가지 기억에 남는 것은 one is all, all is one 전부는 세계, 하나는 나, 만물 중의 하나와 만물을 이루는 하나들. (과학자들이 좋아할 만한 구절이다) 생명은 생명을 먹으며 살아간다. 생명의 순환. 두 생명을 하나로 합치는 키메라 실험에 아내와 딸을 바친 과학자 진리를 탐구하는 연금술사를 인간 병..
[Music] 공지 [BOOK] *음악에 대해 분석해야 할 내용을 목차를 나눕니다. 목차 : - 내용 : 가수 분석, 장르 및 분위기, 가사 분석 - 기술 : 음반 & 음원 아트 분석 - 기타 : 음악을 선택한 이유와 느낀점 *위 목차의 분석 내용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합니다. 표현 방법 : 글쓰기, 모방, 일러스트, 만화(2차창작), 사진, 다른 작품과 비교 연결하기, 등 *이 프로젝트를 통해 인문학적 표현과 디자인적 결과물을 연관시켜 디자인 감성을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Book] 공지 [BOOK] *책에 대해 분석해야 할 내용을 목차를 나눕니다. 목차 : - 기술 : 책 커버 디자인, 책의 타이포 분석 - 문학 : 책의 내용과 줄거리(줄거리의 전환점 및 중요한 부분), 작가 분석, 소설에 이용된 모티브, 메시지를 비유하는 상징적 매개체, 소설의 시점(몇인칭인지) 등) - 기타 : 책을 선택한 이유와 느낀점 *위 목차의 분석 내용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합니다. 표현 방법 : 글쓰기, 모방, 일러스트, 만화(2차창작), 사진, 다른 작품과 비교 연결하기, 등 *이 프로젝트를 통해 인문학적 지식과 디자인적 결과물을 연관시켜 디자인 감성을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healing 치유 나의 생각은 특정 사건을 이후로 변했으며,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어떠한 가치를 증명하지 못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나는 누군가에 의해 "치유되고 있다." 최근 나의 행동, 감정 그리고 끊임없이 몸에서 재생되는 에너지들을 가장 잘 표현하는 단어 인 것 같다. 최근 나의 마음은 그 어느 때보다 즐겁고 설레고 기대감에 차있으며 행복하다고 느끼고있다. 부정적인 생각만큼이나 긍정적인 생각도 꼬리를 물고 물어 넓게 퍼지는 듯 하다. 몸은 그 어느 때보다 지쳐야 정상인 상황인데 그렇지 않다는 것을 이러한 이유로 설명할 수 있다. 내가 잃었다 생각하는 의미는 회복되고 있는 것인가? 그렇다면 이 증상은 내가 이전으로 돌아가고 있다는 것일까 (회복), 아니면 이것또한 그저 새로운 단계인 것일까. 아직은 확신이 서지..
[Project] Self. Report 항상 삶에서 중요한 것을 놓쳐서는 안됩니다. 나는 그것이 '진정한 나'라고 생각합니다. 때문에 과거와 현재 나를 이루고 있는 것, 나의 관심사, 나의 흥미, 내가 좋아하는 것, 가치있다고 생각하는 것, 내가 사랑한다고 '느끼는' 것을 나는 꼭 붙들고 기억하고 있을 것입니다. 기억하기 위해서는 기록이 필요합니다. 글을 쓰고, 분석할 것입니다. 나를 이루는 것들을 알고 나를 이루게 될 것들을 예측할 것입니다. '나'를 철저히 분석하고자 하기 위한 목적으로 프로젝트 Self.Report 를 기획하였습니다. [HOW?] * 이 프로젝트는 '나'와 '타인'이라는 두 가지 큰 줄기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나'는 나를 분석하는 것이며, '타인'은 나에게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는 인물들에 대한 분석입니다. * 글 하나..
외로움과 고독 * 철학적, 심리학적으로 외로움(loneliness)과 고독(孤獨, solitude)은 뚜렷이 구분이 된다. 외로움은 내가 타인을 필요로 함에도 불구하고 '거절당한 소외'를, 고독은 타인이 나를 필요로 하고 있지만 그것을 넘어서는 '자발적인 자기격리'를 의미한다. * 학자 틸리히(Tillich)는 혼자 있는 고통을 표현하는 말은 외로움이고, 혼자 있는 즐거움을 표현하는 말은 고독이라고 정의했다. 또한, 정신분석학자 설리번(Sullivan)은 '관계로부터 격리된 부정적 혼자됨'을 외로움으로, '스스로 선택해 나다움을 찾는 긍정적 혼자됨'을 고독'으로 구분했다. *고독함을 즐길 수 있어도, 고독 뒤에 항상 따라오는 것은 외로움이다. 항상 고독할 수도 없고, 외로울 수도 없다. 둘은 세트같은 것인 듯 하다. ..